오늘은 임신 16주 6일 차로 드디어 태아의 성별을 정확하고 확인하고 2차 기형아 검사(피검사)를 받고 왔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그랬듯 산부인과 의사 선생님께 문득문득 궁금해서 써놓았던 질문들을 여쭤봤는데요 제가 워낙 밀크티를 좋아하는데 밀크티도 홍차로 만든 라테이다 보니 당연히 카페인이 들어서 안 좋다는 건 알았지만 그래도 먹고 싶으면 먹어도 되는지, 얼마나 먹어도 되는지, 카페인이 구체적으로 왜 임산부에게 나쁜지에 대해서 여쭤보고 선생님께서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임산부 밀크티 먹어도 되나요?
우선 차 종류, 커피, 초콜릿(초코류)에는 모두 카페인이 들어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밀크티 역시도 카페인이 들어간 홍차를 우려서 만들기 때문에 카페인이 들어가 있습니다. 보통 임산부의 1일 카페인 허용 권장량은 머그컵에 아메리카노 한잔 정도인데요 그래서 저는 커피가 먹고 싶을 때는 디카페인을 마십니다.(물론 디카페인도 소량의 카페인이 들어있습니다. 나라마다 디카페인의 기준이 다른데 우리나라는 카페인 허용치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살짝 높아서 그렇습니다.)
그래도 종종 생각나는 밀크티는 아무리 봐도 대체할만한 음료가 없더라고요. 많은 산모분들이 루이보스차를 많이 드신다고 하는데 저는 루이보스의 향이 네가 불호하는 맛이라서 별로였어요.
임산부 카페인 1일권장량, 얼마나 마실 수 있나요?
일반 성인의 경우 400mg / 임산부는 300mg가 하루 권장량입니다.
밀크티의 카페인 함량
밀크티는 제조법, 브랜드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모두 다 다릅니다. 한잔에 35mg에서 114mg까지 다양합니다.
스타벅스 밀크티는 (돌체블랙 밀크티) 톨 사이즈 기준으로 35mg 카페인이 들어있습니다.
아메리카노 톨사이즈가 150mg인걸 감안하면 밀크티는 거의 5분의 1 수준으로 커피보다는 훨씬 낮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카페 브랜드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미리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카페인이 임산부에게 안좋은 이유
막연하게 카페인이 임산부에게 안 좋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는데 오늘 선생님께서 구체적으로 왜 안 좋은지 설명해주셨는데요 카페인이 태반으로 연결된 혈관을 수축시켜서 혈관을 통해 태아에게 운반되는 영양과 산소 공급을 막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산모가 아무리 잘 챙겨 먹고 살이 쪄도 정작 태아에게는 영양공급이 제대로 안돼서 저체중으로 태어날 수도 있다고 해요. 임산부는 일반 성인에 비해서 카페인을 해독하는데 더 시간이 오래 걸려서 하루 권장량도 적은 편이고요. 물론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는 이상 큰 영향은 없겠지만 그래도 나는 커피를 하루에 몇 잔씩 먹어도 건강하게 잘 낳았어 이런 말들을 듣고 카페인을 과다하게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저도 사실 이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스스로 합리화하면서 너무 먹고 싶을 때는 종종 커피든 밀크티든 마시긴 하는데요 그래도 웬만하면 커피는 디카페인으로 밀크티는 정말 먹고 싶을 때만 마시고 있습니다. 차도 생각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높은 걸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아메리카노보다는 낫아서 한편으로는 조금 안심이기는 하네요.
오늘은 밀크티 카페인 함량과 임산부 카페인 1일 권장량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유용한 정보 되셨길 바랍니다.
'임신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10주 차 증상과 태아의 상태 (0) | 2022.09.15 |
---|---|
태교 여행 주 수와 시기, 임산부 비행기 방사선 괜찮을까? (0) | 2022.09.14 |
임신 16주 차 배 크기와 성별, 증상은 뭐가 있을까? (1) | 2022.09.11 |
임산부 보건소 혜택! 영양제(엽산, 철분제)부터 초기검사까지! (2) | 2022.09.10 |
임신 9주 차 증상 어떤 게 있을까 (0) | 2022.09.09 |
댓글